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수상작 (제37회)
제37회 수상작 다운로드 <최우수상> 낙동강 녹조 마이크로시스틴 검출을 둘러싼 지식의 경합 과정: 지역 환경운동가 및 시민과학의 역할을 중심으로 ❙ 김덕훈・신승은・정예은 <우수상> 김남천 소설의 지식인 고발과 ‘상상된 관찰자’ 기획: 프로문학의 위기를 타파하고자 힘쓴 정직한 작가정신 ❙ 신다솜 영어 학습자의 글에서의 문법적 은유 사용 및 교수법적 의의 연구 ❙ 이승아 CFD를 활용한 세정기의 외기 혼합 […]
제37회 우수리포트 공모대회 시상식 안내
기초교육원 특별기획 – ChatGPT와 함께 맞는 신학기
2023년 1학기 <외국인 글쓰기 지도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2023년 1학기 <신입생을 위한 리포트 집중지도 프로그램>(1차) 참가자 모집
2023년 1학기 1:1 리포트 상담 신청 안내
글쓰기교실 연구노트 33: 글쓰기를 위한 비판적 읽기
<지은이> 배하은 대구경북과학기술원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 박사 <목 차> Ⅰ. 비판적 읽기의 중요성 1.“읽지 않으면 쓸 수 없다” 2. 비판적 읽기란 무엇인가? Ⅱ. 글의 주제와 방향 설정을 위한 읽기 1. 무엇을 읽을 것인가? 2. 어떻게 읽을 것인가? 3. 읽은 후에 할 일: 생각 구체화·구조화하기 Ⅲ. 읽은 내용 글로 서술하기 […]
픽션들 (장윤서)
‘그’, ‘불’, ‘아이’의 순환적 관계 해석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픽션들> 중 <원형의 폐허들>을 읽고 전기정보공학부 2021-12674 장윤서 <원형의 폐허들>은 짧지만, 불, 신(전), 꿈 등의 요소가 반복적으로 나오며, ‘그’가 ‘소년’이라는 존재를 만들고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다룬다. 이 글에서는 소설에서 등장하는 ‘그’, ‘불’, ‘아이’의 관계를 분석해 볼 것이며, 꿈과 현실의 구분에 대해 고찰해 볼 것이다. 소설은 […]
과학혁명의 구조 (김승효)
‘과학혁명의 구조’에 대한 생각들 컴퓨터공학부 김승효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는 과학적 탐구가 패러다임을 통해 전개되는 방식을 제시한다. 그에 따르면 과학자들은 중 요한 과학적 탐구와 그 해석으로 이루어진 패러다임을 받아들인다. 그들은 현재 자신이 받아들인 패러다임의 절대 성을 확신하며, 이를 발판으로 과학 탐구의 방향을 설정하고 어떤 방식의 탐구를 수행할지를 결정한다. 과학 교과 서는 패러다임을 서술해 과학을 배우는 […]
구별짓기 (정채림)
‘값싼’ 취향을 갖지 않으려면: 『구별짓기』 서평 2018-10086 경제학부 정채림 “난 배고프고 절박한 그런 예술가 아니에요.”1) 일반적으로 예술가는 작은 방에서 배를 곯으며 악기나 물감을 사는 사람으로 그려졌던 것 같다. 가난에서 오는 절박함과 진정성, 그리고 그것이 자아내는 보편적인 공감대는 가난한 젊은이를 예술가로 만들어주는 중요한 요소였을 것이다. 그러나 위 가사처럼 유복한 집안에서 태어난 예술가들도 많고, 나아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