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전개하기 – 문제해결하기
내용 전개 방식 개괄 ‘내용 전개 방식’은 왜 필요할까? 글쓰기를 잘하기 위해서는 내용뿐만 아니라 전개 방식과 형식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내용이 아무리 좋아도 전개 과정이 어색하면 좋은 글이라고 말할 수 없다. 학술 글쓰기 초심자의 경우에는 한 편의 글을 균형 있게 완성해 본 경험이 적다. 특히 이런 경우에는 글의 전개 방식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
글쓰기 전개하기 – 설명하기
설명이란? 설명이란 어떤 대상이 지니는 의미, 작동의 원리, 발생의 이유 등을 독자가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알려주는 것이다. 가전 제품 사용 방법, 장학금 신청 절차 등 실용적인 정보에서부터 추상적인 개념, 특정 현상이 발생하는 원리 등 심층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까지 설명은 일상 생활과 전문 학술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된다. ‘설명’은 설명문에서만? 흔히 글쓰기에서 ‘설명’이라고 하면 […]
글쓰기 전개하기 – 논증하기
논증이 필요한 이유 대학에서 가장 많이 요구되는 글의 종류는 무엇일까? 그것은 단연 ‘논증하는 글’이다. 학술적 논문은 말할 것도 없고 교양이나 전공수업의 글쓰기 과제 대부분이 논증적 글쓰기를 요구한다. 논문에서부터 글쓰기 형식으로 요구되는 다양한 종류의 시험 답안에 이르기까지 논증적 글의 스펙트럼은 넓고 다양하다. 하지만 그 핵심이 논증이라는 점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 그렇다면 왜 대학의 글쓰기는 논증을 […]
글쓰기 시작하기 – 주제문과 개요 작성하기
주제 선정 자유로운 구상 흥미로운 주제를 논리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주제잡기, 구상하기, 개요짜기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편의상 세 단계로 나누었지만, 실제 글쓰기에서 각 단계는 뚜렷이 구분되지 않는다. 구상을 하면서 주제를 정하기도 하고, 개요를 짜는 과정에서 주제문을 다시 정하기도 한다. 우리가 글을 쓰기 어려운 까닭은 처음부터 완벽한 주제문을 정하고 글을 써야한다는 강박 때문이다. 하지만 처음부터 명확한 […]
글쓰기 시작하기 – 주제 찾기
주제란? 글을 잘 쓰려면 먼저 어떻게 글의 주제를 정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주제는 글감이라고도 부르는데, 주제나 내용, 메시지, 테마 등이 함께 뒤섞인 말이다. (정희모, 2020, 60)” 주제라는 말은 글감을 의미하기도 하고, 주요 메시지를 가리키는 말이다. 문제의식과 핵심주장은 글의 주요 메시지이다. 주요 메시지는 주제문으로 표현된다. 글감을 정하는 일은 글쓴이의 주요 메시지와 긴밀하게 연결되어있다. 요컨대 주제 […]
글쓰기 시작하기 – 과제 이해하기
과제 시작 전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 check 예상 독자는 누구인가? 어느 정도의 배경지식을 공유하는가? 어떤 글쓰기 종류의 과제인가? 써야 하는 글의 분량은 어느 정도인가? 글을 쓰는 목적이 무엇인가?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나 자료가 충분한가? 과제 요구사항을 꼼꼼하게 파악하는 질문들 tip 과제를 받을 때 혹은 시작하기 전, 아래의 질문들을 스스로 던져보며 글쓰기 과정에서 필요한 […]
글쓰기 시작하기 – 대학 글쓰기
학술적 글쓰기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글쓰기라고 한다. 학술적 글쓰기란 학부에서의 학문, 또는 대학원에서의 연구를 위한 글쓰기이다. 대학 글쓰기 우리 학교의 공식 글쓰기 교재는 『대학 글쓰기』라는 제목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학술적 글쓰기를 ‘대학 글쓰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학술적 글쓰기가 학문공동체, 또는 연구공동체인 ‘대학’에서 사용되는 공동체의 규약에 따른 글쓰기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이다. 대학이라는 공동체에서는 글쓰기의 규칙을 지니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