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글쓰기
에세이 연구계획서 연구논문 서평 에세이 자신이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사건이나, 처한 상황에 대해 사회라는 테두리 안에서 이를 조명해보고 재해석하여 자신과 사회를 성찰하는 에세이를 말한다. 여기에서 직접 경험은 자신이 직접 경험한 일이나 사건 등을 의미하고, 간접적 경험은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나 경험을 통칭하는 것으로, 주변인들의 이야기, 매체에 보도된 사건들 , 영화, 소설 등이 이에 해당한다. 모든 경험을 […]
인문학 글쓰기
나를 소개하는 글 에세이 주제서평 나를 소개하는 글 한 학기 같이 글을 읽고 토론할 동료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 자신을 소개하는 글을 쓴다. 입시나 입사를 위한 자기소개서가 아니므로 소위 스펙을 나열하는 형식적인 자기소개서를 쓸 필요는 없다. 자신의 언어로 자기 자신의 정체성을 재서술해보는 경험을 해 보는 데 의미가 있다. 글쓰기 샘플 다운받기 나를 소개하는 […]
글쓰기의 기초
정의 분류 비교 서사 묘사 논증 비평 정의 정의란 한 용어에 대해 명확한 의미를 부여하는 글쓰기 작업이다. 어떤 용어의 의미가 명확하다는 것은 글 쓰는 이와 글 읽는 이가 그 용어에 대해 동일한 의미를 공유함을 뜻한다. 정의라고 하면 보통 전문 용어나 어려운 낱말을 떠올린다. 그러나 어떤 글의 명확성을 위하여 정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상기하면 전문 용어나 […]
종류별 글쓰기 – 비평적 글쓰기
비평적 글쓰기란 무엇인가? 비평이란 무엇인가? 좋은 예술 작품은 그 수용자들에게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깊은 ‘울림’을 준다. 예술이 감상자의 내면에 남기는 파문은 호기심의 만족이나 정서적 감동일 수도 있고, 미적 감흥이나 도덕적 충격일 수도 있다. 또는 이 모든 것이 뒤섞인, 한마디로 규정하기 힘든 복합적인 것일 수도 있다. 예술 작품을 대상으로 한 비평은 이러한 감상 경험에 대한 성찰을 […]
종류별 글쓰기 – 학술 에세이 쓰기
학술 에세이란? 학술 에세이에서 ‘에세이’란 글 쓰는 사람 마음대로, 즉 붓 가는 대로 쓰는 수필이 아니라 학문 공동체의 규범에 따라 쓰는 글을 뜻한다. 글쓰기에 관한 학문 공동체의 규범 가운데 핵심은 논증이며, 따라서 학술 에세이란 논증을 포함하는 글이라고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학술 에세이는 본격적인 논문과 구별해서 대학 강의에서 다루어지는 보고서, 비평문, 논증문 등을 포함한다. […]
종류별 글쓰기 – 서평 쓰기
서평의 의미 서평이란 무엇인가? 서평은 독후감과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독후감과 서평은 모두 책을 읽은 후 책에 대한 나의 생각을 쓴다는 점에서 비슷하다. 그러나 독후감이 개인적인 감상을 기록하는 데 초점이 있다면, 서평은 책에 대해 타인에게 논리적으로 설명하거나 설득하기 위한 글로서, 독후감보다 공적이고 체계적인 성격을 띤다. 그래서 서평은 ‘내’가 받은 감동이나 ‘나’에게 인상적이었던 점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주목하거나 함께 고민해 볼 만한 보편적인 내용을 […]
종류별 글쓰기 – 논문 쓰기
논문이란 논문은 학문발전을 목표로 한 학문 공동체의 주요한 의사소통의 결과물이다. 학문은 학문 공동체에 속한 연구자들 사이의 소통에 기반을 둔 지식의 축적으로 발전한다. 학문의 세계에는 주어진 정답이 없다. 따라서 학문공동체 구성원들은 연구 대상(인간, 사회 혹은 자연)에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고 그 답을 내리는 과정과 주장을 논문에 담아낸다. 일반적으로 논문은 이전 연구자들의 성과를 수용하면서도 그 한계를 극복하는 것을 […]
글쓰기 마무리하기 – 마무리 이후
다른 글을 참고하여 연습하기 좋은 글을 다양하게 접하는 경험은 글쓰기의 발전에 꼭 필요하다. 다른 사람의 글을 읽다가 ‘나도 이렇게 쓰고 싶다’, ‘다른 사람의 글이지만 정말 타당하다’는 느낌을 받을 때, 그러한 설득력과 매력이 느껴지는 이유가 무엇인지 잠시 분석해본다. 장단점을 파악한 후, 실제로 글을 써보면서 그러한 장점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고, 단점을 피하는 연습을 해보자. 말하고 쓰는 […]
글쓰기 마무리하기 – 글 수정하기
초고는 빨리, 수정은 여유 있게 하기 쓰는 것이 곧 고치는 것이라는 말이 있다. 그만큼 글을 쓴다는 일은 수정 작업의 연속이기도 하다. 초고 쓰기와 수정하기는 성격이 다른 일이다. 초고 작성은 최대한 빠르게, 수정은 여러 번 천천히 해야 하는 작업이다. 초고를 쓸 때는 한 번에 완벽하게 쓰려고 하기보다 자유롭게 써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면, 수정할 때는 빨리 마치려 […]
글쓰기 마무리하기 – 인용하기와 인용출처 표기
인용하기 개괄 인용이란 무엇인가? 인용은 일반적으로 자신의 말이나 글 속에 남의 말이나 글을 끌어와 쓰는 것을 말한다. 학술적인 글쓰기에서는 말이나 글뿐만 아니라 통계 자료나 그래프, 그림, 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자료들을 글의 재료(resource)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학술적 글쓰기에서의 인용은 외부에 있는 정보나 타인의 아이디어를 가져와 자신의 글 속에 통합하여 조직하는 일로 이해할 필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