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교실 연구노트 18: 실험보고서 작성법
<지은이> 하대청(서울대 과학기술학전공 박사) <목차> 1. 실험보고서란 무엇인가 2. 예비보고서 쓰기 3. 초록 쓰기 4. 서론 쓰기 5. 실험재료와 방법 쓰기 6. 세부목차의 구성 7. 표와 그래프의 활용 8. 실험보고서의 문장 쓰기 9. 토의 쓰기 10. 인용법과 출전표기 11. 실험보고서 스스로 평가해보기
글쓰기교실 연구노트 17: 서평쓰기
<지은이> 정주아(서울대 기초교육원 강의교수) <목차> Ⅰ. 서평 쓰기에 관하여 1. 서평의 정의 “서평과 감상문은 뭐가 다른가요?” 2. 서평자의 역할과 위치 “서평은 책의 내용을 바탕으로 쓰는 건데 내 의견이 왜 필요하죠?” Ⅱ. 서평 작성의 실제 1. 책 읽기 “책을 읽긴 읽었는데 아무 것도 생각이 […]
글쓰기교실 연구노트 16: 인용법(개정판)
<지은이> 김태환(서울대 독어독문학과 교수) <목차> 서론 1. 학문적 글쓰기와 인용 2. 인용의 기능 3. 인용의 기본 윤리 4. 인용의 방법 5. 보론: 풀어쓰기 6. 표절 7. 주와 참고문헌 목록의 작성 결론
글쓰기교실 연구노트 15: 공연・전시 감상평 작성법
<지은이> 전예완(서울대 미학과 강사) <목차> Ⅰ. 감상평 과제를 받아든 그대에게 1. 예술 감상평 과제, 도대체 왜? 1.1 ‘내가’ 감상해야 하는가? 1.2 ‘직접’ 감상해야 하는가? 1.3 좋았다. 즐거웠고 감동했다. 그런데 무엇을, 왜 써야 하나? 2. 이 책자의 활용에 대하여 Ⅱ. 감상평 작성의 기초 1. […]
글쓰기교실 연구노트 14: 자연계열 리포트 작성법
<지은이> 김상현(성균관대 학부대학 전임대우조교수) <목차> Ⅰ. 자연계열 글쓰기의 특징 Ⅱ. 연구주제의 선정 Ⅲ. 연구자료의 검색 및 검토 Ⅳ. 자료의 검색 및 검토를 위한 전략 Ⅴ. 자연계열 레포트의 일반적 구성과 작성 Ⅵ. 고쳐쓰기(퇴고) Ⅶ. 레포트 유형에 따른 작성 시 유의사항
글쓰기교실 연구노트 13: 영화평 – 어떻게 보고, 어떻게 쓸 것인가?
<지은이> 김지미(영화 평론가) <목차> Ⅰ. 영화 비평은 왜 하는가? Ⅱ. 영화평을 쓰기 전에 Ⅲ. 효과적인 영화 분석을 위해 준비해야 할 것들 Ⅳ. 영화에 접근하는 방법
글쓰기교실 연구노트 12: 질적 연구논문의 작성과 평가
<지은이> 조용환(서울대 교육학과 교수) <목차> 1. 질적 연구의 원리 2. 질적 글쓰기의 특징 3. 질적 글쓰기의 주요 지침 4. 일반적인 질적 글쓰기 방식 5. 질적 글쓰기의 새로운 추세 6. 질적 연구논문의 평가기준
글쓰기교실 연구노트 11: 토론, 어떻게 할 것인가
<지은이> 김수영(독일 콘스탄츠대학교 철학박사) <목차> I. 토론이란 무엇인가? II. 토론의 종류 1. 비대칭형 토론 2. 대칭형 토론 III. 토론의 규칙 1. 자신의 주장을 어떻게 펼쳐야 하는가? 2. 상대방을 어떻게 비판해야 하는가? 3. 상대방에게 어떻게 질문해야 하는가? 4. 토론에 어떻게 임해야 하는가?
글쓰기교실 연구노트 10: 번역과 논리
<지은이> 김태환(서울대 독어독문학과 조교수) <목차> 1. 번역의 전제로서의 논리 2. 문자 다시 쓰기와 왜곡 3. 체계와 구조로서의 문자 4. 문자의 두 차원: 추상적 문자와 구체적 문자 5. 문자에서 글로: 다시 쓰기로서의 번역 6. 글의 두 차원: 텍스트와 메시지 7. 기표/기의, 랑그/파롤 8. 구체적 기표에서 구체적 기의로 9. 기의와 지시의 문제 10. 메시지의 지시로서의 텍스트 […]
글쓰기교실 연구노트 9: 독자 중심의 글쓰기
<지은이> 이정옥(숙명여대 의사소통센터 조교수) <목차> 1. 글쓰기와 목수의 관점 2. 대학 글쓰기 과제의 특성과 유형 3. 필자 중심의 논지 구축 4. 개요 작성, 독자와 소통 가능한 글로 전환 5. 대상 독자와 논지 조정 6. 학술적 에세이의 구조와 논지 재배치 7. 공감대 형성과 단서 제공 8. 개요 작성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