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교실 연구노트 28: 칼럼 쓰기-마음을 사로잡는 설득 에세이

<지은이> 차익종(서울대 기초교육원 강의교수) <목차> 제1장 칼럼 혹은 설득 에세이 1)  한 줄 카피를 넘어 대숲명전을 꿈꾸는 당신에게 2)  칼럼이란 제2장 칼럼 감상 안목 키우기 1)  학생 글 감상 1: 주제의 명료함, 논증의 성실성 2)  학생 글 감상 2: 주제의 무게와 논의의 성실함 제3장 잘 쓴 글과 좋은 글 1)  잘 쓴 글이란 2)  좋은 […]

글쓰기교실 연구노트 27: 서론과 결론 쓰기 노하우

<지은이> 조은주(아주대 기초교육대학 글쓰기 강의교수) <목차> 서론과 결론이 증요하다 서론을 작성할 때 기억하라, '무엇을' '어떻게' '왜' 서론을 작성할 때 이런 점들에 주의하라 도입부를 적는 방법은 다양하다 서론은 '가능하면' 최대한 마지막에 써라 소논문의 경우, 서론을 보다 치밀하게 작성하라 서론을 다 쓰고 검토하라, 서론 체크리스트 결론에는 무엇을 쓸까? – 영화의 엔딩 장면처럼 써라 결론을 쓸 때 기억하라, […]

글쓰기교실 연구노트 26: 이공계 대중적 글쓰기-보도자료와 시각자료

<지은이> 김훈기(서울대 기초교육원 강의교수) <목차> 1.  대중적 글쓰기의 개념과 중요성 2.  대중매체 기고문의 작성: 보도자료의 구성 방법 3.  쉽고 구체적인 사례 제시: 보도자료와 기사의 차이 4.  시각자료의 의미와 증요성 5. 이공계 시각자료는 얼마나 객관적일까 6.  이공계 시각자료에 대한 대중의 오해와 선호 7. 맺음말

글쓰기교실 연구노트 25: 과학기술 글쓰기-비평하기

<지은이> 김광식(서울대 기초교육원 강의부교수) <목차> 1.  과학기술 글쓰기와 비평하기 2.  비평의 단계    1)  전체 구성 비평    2)  세부 내용 비평    3)  표현 비평 3.  과학기술 글쓰기 비평의 종류    1)  과학 설명문    2)  과학 에세이    3)  과학 논문 4.  과학기술 글쓰기 비평의 실제    1)  과학 설명문 비평의 실제   […]

글쓰기교실 연구노트 24: 좋은 글을 쓰기 위한 첫걸음-문제의식의 발견과 주제 선정

<지은이> 김승민(서울대 기초교육원 강의부교수) <목차> 1. 머리말 2. ‘대학’에서 ‘글쓰기’의 의미    2.1 ‘글쓰기’에 대한 오해 바로잡기    2.2 ‘글쓰기’의 의미 다시 생각하기       1단계: ‘배움’의 도구로서의 글쓰기       2단계: 생각을 ‘발견하는’ 과정으로서의 글쓰기       3단계: 생각을 ‘키워가는’ 과정으로서의 글쓰기       4단계: 학술적 ‘의사소통’ 과정으로서의 글쓰기 3. […]

글쓰기교실 연구노트 23: 서사적 글쓰기와 묘사적 글쓰기-‘마라의 죽음’과 ‘백자증정부인박씨묘지명’을 중심으로

<지은이> 안순태(서울대 기초교육원 강의부교수) <목차> 1. 머리말 2. 서사와 묘사에 대한 오해    2.1. 서사・묘사는 문학작품에만 쓰인다?    2.2. 시간 순서대로 사건의 경과를 적으면 서사가 된다?    2.3. 시각 이미지만 묘사할 수 있다? 3. ‘마라의 죽음’과 서사・묘사    3.1. 서사(敍事)에 초점을 맞춘 기술(記述)    3.2. 묘사에 초점을 맞춘 기술 4. 한국 한문산문과 서사・묘사 글쓰기   […]

글쓰기교실 연구노트 22: 해석과 평가-문학 리포트 쓰기

<지은이> 장두영(서울대 기초교육원 강의교수) <목차> 1. 서론 2. 문학 리포트의 유형    2.1. 문학 리포트의 두 가지 목표    2.2. 문학의 구성    2.3. 과제의 종류와 의도 3. 문학을 보는 관점    3.1. 역사주의 비평    3.2. 사회·문화 비평    3.3. 심리주의 비평    3.4. 형식주의 비평 4. 리포트 작성의 절차    4.1. 주제 잡기 […]

글쓰기교실 연구노트 21: 사회과학 리포트 작성법-묻고 답하기(Q&A)

<지은이> 박현희(서울대 기초교육원 강의부교수) <목차> Ⅰ. 사회과학 리포트의 이해    질문 1. 사회과학 리포트는 어떤 글인가? 논문인가? 에세이인가? 보고서인가?    질문 2. 사회과학 리포트(혹은 사회과학 소논문)는 어떤 요건을 갖춰야 하나?    질문 3. 사회과학 리포트를 잘 쓰려면, 우선 무엇이 중요한가?    질문 4. 글의 소재가 되는 사회현상은 어떻게 발견하고, 문제의식은 어떻게 형성하는가?    질문 5. […]

글쓰기교실 연구노트 20: 자기 성찰적 자기소개서

<지은이> 이수정(광주과학기술원 기초교육학부 교수) <목차> 1. 자기소개서란?    (1) 추천서와 자기소개서    (2) 자기소개서는 ‘자소설’?    (3) 너 자신을 알라 2.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    (1) 인생굴곡그래프    (2) 내 인생의 한 컷    (3) 예문과 조언 3. 우물 속에 비친 나    (1) 자신과의 화해    (2) 바위 깨기와 대성당    (3) 예문과 […]

글쓰기교실 연구노트 19: 인문학적 사유와 글쓰기

<지은이> 이유선(서울대 기초교육원 강의교수) <목차> 1. 들어가며; ‘깊이 있는 글’에 대해 2. 인문학이란?    – 인문학이 뭔가요; 학생들의 대답    – 삶의 의미에 관한 물음; 영향에 대한 불안    – 스스로 질문하기; 자유로부터 도피하지 않기    – 타자의 고통에 대한 감수성; 사적인 것과 공적인 것 3. 글쓰기란?    – 자아창조로서의 글쓰기; 내가 쓰는 것이 ‘나’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