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별짓기 (김승효)
‘구별짓기’의 예술론 비판: 소로우의 고전 문학 예찬과 그 과학적 근거 컴퓨터공학부 김승효 ‘구별짓기’의 예술론 구별짓기는 프랑스의 사회학자 피에르 부르디외가 1979년에 저술한 책이다. ‘구별짓기’의 많은 부분은 설문조사 결과 등 사회학 연구를 분석하는데, 이를 통해서 부르디외는 사회의 각 부분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움직이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도상을 제시한다. 그에 따르면 사람들은 다양한 자본을 소유하고 있다. 세상에는 […]
구토 (장윤서)
<구토>의 의미와 결말 해석: 뤼시, 망토, 비를 바탕으로 전기정보공학부 2021-12674 장윤서 <구토>에는 우연성, 관념, 이야기, 존재, 모험, 필연성 등 생각해 볼 개념이 여러 개 등장하고, 독학자나 안니, 롤르봉 후작처럼 흥미로운 인물들도 여럿 등장한다. 이 글에서는 여러 등장인물 중에서도, 두 명의 인물을 바탕으로 구토 현상을 생각해 볼 것이다. 각각의 인물은 각각 ‘뤼시’와 ‘망토’이다. 이들이 […]
구토 (전서정)
장 폴 사르트르의 〈구토〉 서평 2019-18653 사회학과 전서정 장 폴 사르트르는 철학자이자 소설가로 다양한 발자취를 남긴 것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그 중에서도 소설 〈구토〉는 사르트르가 소설가로서의 기반을 다질 수 있도록 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20세기의 가장 핵심적인 사상이라고 할 수 있는 실존주의를 선언하는 형식으로 그려지고 있는 이 소설에서 주인공 로캉탱은 작가 사르트르의 […]
구토 (정채림)
존재와 화해하기: 『구토』 서평 2018-10086 경제학부 정채림 이창동 감독의 영화 〈시〉(2010)에 등장하는 한 시 쓰기 수업에서 김용’탁’ 시인은 시를 쓰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보는 것을 언급한다. 잘 보는 것. 영화는 러닝타임 내내 과연 시인은 무엇을 보아야 비로소 글을 쓸 수 있는지 묻는다. 그 물음에 대해 이창동 감독은 현실 너머의 세계를 떠올리는 것이 […]
안나 카레니나 (박수연)
복수는 정말 나의 것일까 안나 카레니나 / 레프 톨스토이 저; 연진희 옮김 이 책은 생각해볼 많은 주제를 담고 있지만, 그 중 특히 내게 다가왔던 것은 죽음과 구원, 그리고 복수에 대한 문제이다. 개인적으로 얼마 전에 나는 죽음으로 인해 사랑하는 이와 헤어지는 아픔을 겪었다. 그것은 아픔이라는 단어를 붙일 수 없을 정도로 심장이 쥐어짜이는 듯한 고통이었다. 18년 […]
님의 침묵 (강다솔)
지금과는 다른 미래를 꿈꾸며 사랑하는 이들을 위한 노래, 『님의 침묵』 2019-11981 강다솔 「님의 침묵」이라는 시는 문학에 거의 관심이 없던 사람이더라도 한 번쯤 읽어봤을 시다. 또한 ‘한용운’이라는 이름 역시 한국에서 교육을 받은 사람이라면 모르기 어려운 이름이다. 그러나 그렇게 열심히 배웠음에도 불구하고 교과서에 등장한 것 이상으로 한용운의 시를 읽은 사람들이 몇이나 될까? 감히 예상하건대, 10%도 […]
자유론 (강다솔)
현대사회 속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의 통찰 적용하기: 자유에 대한 사유의 필요성과 차별금지법 논쟁 2019-11981 강다솔 한 개인의 성장, 그리고 역사의 성장은 자유의 확대를 향해 나아가는 과정이라고 표현할 수 있을 것 같다. 한 사람이 처음 태어났을 때에는 무엇을 먹고 입을지조차 모두 부모님의 결정을 따라 해야 하지만, 점점 크면서 자신이 어떤 곳에서 살고 어떤 […]
젊은 예술가의 초상 (한성민)

스티븐의 예술론으로 그의 창조자의 예술을 읽다 『젊은 예술가의 초상』을 읽고 물리천문학부 한성민 1882년, 아일랜드의 더블린에서 태어나 삶을 방황하던 제임스 조이스는 1904년, 20대 초반이라는 젊은 나이에 고향을 떠나 예술가가 되기로 한다. 그리고 10년 후 그가 내놓은 작품은 다름 아닌 조이스 자신의 이야기를 담은 소설이었고, 『젊은 예술가의 초상』이라는 제목의 그 소설은 현재 청소년과 대학생들에게 가장 […]